전체 글 99

한류는 수출의 역군인가

Cultural Preferences in International Trade: Evidence from the Globalization of Korean Pop Culture (Pao-Li Chang and Iona Hyojung Lee, 2019 Working Paper) 논문: Link 리서치비틀: Link 1. 각잡고 하는 연구 과제가 있는 것도 아니건만, 한달에 글 하나 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도 12월에 하나는 써야지 싶어 얼른 쓴 글. '무역과 문화' '무역과 젠더' '무역과 환경' 이런 약간은 말랑말랑한 주제들이 역시 논문 읽는데나 글 쓰기에나 좋다. 다음 달에는 '무역과 젠더'와 관련된 논문 두 개를 엮어서 하나 써봐야겠다. 2. BTS는 미국에서 생각보다 많이 인기가 있더라..

국제무역과 기술혁신: 문헌 리뷰 (작성중)

※ 이 글은 오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오류는 글쓴이의 책임입니다. 외부로의 전재, 인용시 글쓴이에게 문의해 주십시오. (소개는 상관없습니다.) ※ 이 글의 내용은 제 재직기관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 이 글은 현재 미완성으로 계속 (천천히, 틈틈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 저널에 게재된 논문은 저널의 링크를, 워킹페이퍼는 제가 찾은 최대한 최근의 공개된 논문버전으로 링크를 달았습니다.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게재 정보는 연도 & 학계에서 통용되는 저널 약어를 사용했습니다. ======================================================================= 박사과정 중에 무역-특허 데이터를 이용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다. 나름대로 꽤 오랜기간 머리를 싸맸..

20211221

1. 박사과정 중에 기업-노동자 연결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들에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었다. 지도교수가 스웨덴의 데이터로 연구들(예컨대 Link1 Link2)을 계속 하고 있기도 하고, 이런 종류의 데이터를 이용한 좋은 연구들이 무역 분야에서도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들이 있는지 좀 찾아봤었다. 언젠가 지도교수를 찾아가서 이런 데이터도 있고 저런 데이터도 있더라 하니 몹시 진지한 얼굴로 'idea is important.'라고 한마디 하셨던 기억이 있다. 물론 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는 없었고, 1시간 거리에 있는 데이터센터에 가면 독일 데이터가 있다는 얘기만 들었다. 2. 한국에도 기업-노동자 연결 데이터가 있으면 연구할 수 있는 주제들도 매우 많고,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바..

잡기장 2021.12.21

20211205

1. 연구자들 중에 보면 정말 장인 정신을 갖고 한 가지 연구주제를 수년씩 오래도록 깊게 깊게 파고 드는 이들도 있는 반면, 여러가지 주제에 폭 넓게 관심을 갖고 이것저것 연구하는 이들도 있다. 나는 후자쪽이다. 그나마 나는 '국제무역'이라는 큰 틀 안에서 이거해볼까 저건어떤가 깨작깨작 관심을 갖는 편이지만, 그런 구역조차도 없이 넘나드는 엄청난 분들도 있다. 그래도 한국의 입시제도와 대학시절, 그리고 박사유학까지 넘긴 것을 보면 집중력이나 근성이 없지는 않을텐데, 어떤 주제 하나를 수년씩 계속 파고 드는건 나한테는 쪼오까 힘든일이지 싶다. 2. 석달동안 연구 아이디어를 두어개 생각해 초기 작업을 준비중이다. 하나는 외국자본의 유입과 기술혁신, 또다른 하나는 코로나-19 팬데믹과 해외투자에 관한 것들이다..

잡기장 2021.12.05

헤아려 본 슬픔

2021.11.30 헤아려 본 슬픔 (C.S.Lewis) Link 내키는대로, 대중없이, 손에 잡히는대로, 읽고 싶은 만큼, 책들을 읽고 있다. 굳이 모든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야 한다는 강박을 가질 필요 없다. 읽기 시작한 책을 기간 내에 다 읽어야 하는 숙제도 없다. 다만, 마치 헌책방의 중고책 "수학의 정석"들이 대개 집합론 부분만 손때가 묻어 있듯, 계속 책들을 앞에만 좀 읽고 던져 두지는 말아야겠다. 물론 그렇게 읽어도 책 읽은체 하는데는 문제 없다. 어제 H 박사님이 (교회다니시는 독실한 분이시다.) 내 연구실에 놀러 오셔서, 책장에 꽂혀 있는 책들을 함께 훑다가 C.S.루이스의 책들을 보시고는 잠시 이 책, '헤아려 본 슬픔'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그래서 오늘 퇴근하고서 무얼 좀 읽어..

수출을 통한 학습: 실험연구

Exporting and Firm Performance: Evidence from a Randomized Experiment (David Atkin, Amit Khandelwal, Adam Osman 2017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논문 링크: Link 리서치비틀: Link 1. 남이 보든 안보든 어쨌든 대중들이 보는 공간에 논문 요약을 올리는거라 너무 복잡하지 않고 그런 논문은 나도 읽기 싫다 그러면서도 어느정도 흥미를 끌 수 있고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논문들을 골라야 하는데, 사실 무역 논문들 중에 그런게 많지 않다. 어쨌든 국제무역은 축약형 실증분석 보다는 구조적 추정, 복잡한 계산들이 들어가는 논문들이 주류인 필드라... 이 논문은 요새 응용미시/개발경제학에서 많..

교감 해설 징비록

교감 해설 징비록 (류성룡 저, 김시덕 역해) 해제 - 『징비록』과 동아시아 1 『징비록』, 동아시아의 베스트셀러 - 징비록의 저자 류성룡은 임진왜란의 인과관계와 상세한 진행은 물론 본인을 포함한 여러 개인의 전쟁 체험에 이르기까지 냉철한 태도를 유지하며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상황을 기록했다. ... 자신의 고통을 소리 높여 외치기는 쉽지만, 그 고통을 객관화 해서 모두가 나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하기는 어렵다. 그 지난한 보편화의 과정을 거쳐 탄생한 "징비록"은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힌 조선의 책이 되었다. - 세계사적 관점에서 "징비록"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미는 이 책에 담긴 내용이 진실되다거나 불편부당하다는데 있지 않다. ... 이처럼 인간적인 측면까지 포함해서 류..

20211122

- 세종살이도 세달이 다되어 간다. 가끔씩 주말에 뭐하냐고, 심심하지 않냐고 주위에서 물으시는데 탁구 치고 연구실 소파에 누워 하나가득 갖다놓은 책들 읽고 저녁에 성당 일 조금 도와주고 하니 그다지 심심할 일은 없다. 세종은 심심하고 서울이 좋다고 하는 분들이 많지만, '심심한건 해결 가능하지만 북적대고 시끄러운건 피할 방법이 없다'라고 생각하는 나한테는 세종이 서울보다 낫다. 천성이 그런건지 아니면 그렇게 살아온건지는 모르겠지만 자극적인 것들 피하고 조용하고 담담하게 사는게 내게는 좋은 것 같다. - 주말에 연구실 소파에서 책 읽다 든 생각인데, 문사철 쪽 인문학 책들은 소파에 누워서 빈둥대며 읽을 수 있는데 경제학이나 다른 사회과학 서적은 절대 그렇게 안되는 것 같다. 때로는 연구실 탁자에 몇 권 올..

잡기장 2021.11.21

20211107

1. 서울 출장을 갔다왔다. 토요일에는 오전 내내 자다가 오후에 겨우 일어나 탁구 치러 갔다. 출근 단 두 달 만에 직장인 다 됐구나 생각했다. 그래도 레슨 단 두 달만에 빠른 속도로 탁구 실력이 붙는 것 같아 만족스럽다. 반 년 정도 탁구만 더 치다가 다음에는 테니스로 옮겨봐야겠다. 2. 혼자 조용히 끄적대는 블로그인데 가끔 방문자 수가 꽤 높게 나올 때가 있다. 어디 홍보한것도 아닌데 어디서 어떻게 알고 들어오는 분들인지, 어디 SNS에 좌표 찍혔나... 생각한다. 검색어 유입도 가끔 확인하는데 '미국 세탁기'가 있어서 혼자 빵 터졌다. 미국 세탁기 찾다가 제 블로그 누르신 분, 필요한 정보를 올린게 아니라 죄송합니다...;;; 방문객 중에 같은 연구소 사람들이 있을수도 있고, 동종 업계 사람들도 제..

잡기장 2021.11.07

미중무역전쟁: 중국, 또 다른 한 축

Illuminating the Effects of the US-China Tariff War on China’s Economy (Davin Chor and Bingjing Li 2021 NBER Working Paper Link) Anxiety or Pain? The Impact of Tariffs and Uncertainty on Chinese Firms in the Trade War (Felipe Benguria, Jaerim Choi, Deborah Swenson, and Mingzhi Xu 2020 NBER Working Paper Link) 리서치비틀: Link 미중무역전쟁에 대한 논문 정리는 이 정도면 된 것 같다. 둘 다 중요한 연구 문제를 다루었고, 연구방법론도 최근 연구에 걸맞는 방법론을..